사회 : 정학수(인천문화재단)
|
10:00~10:20
|
개회식
|
개회사
환영사
축사
|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인천문화재단 이사장
경기문화재단 이사장
|
10:20~10:50
|
기조강연 : 근대 인천의 디아스포라와 경계인
|
발표 : 이영호(인하대)
|
10:50~11:15
|
제1발표,
4~6세기 백제에서의 중국계 이주민의 정착과 활동
|
발표 : 장미애(고려대)
토론 : 백길남(한성백제박물관)
|
11:15~11:40
|
제2발표,
6세기 한반도 남부 정세와 경계인의 삶
|
발표 : 위가야(성균관대)
토론 : 신가영(연세대)
|
11:40~12:05
|
제3발표,
경계인으로서의 삼별초
|
발표 : 오기승(중앙대)
토론 : 강재구(가톨릭대)
|
12:05~12:30
|
제4발표,
고려인 이백우의 몽골(원)에서의 활동과 그의 가문에 대한 고찰
|
발표 : 김진곤(서울시립대)
토론 : 권용철(고려대)
|
12:30~13:30
|
점 심
|
|
사회 : 정성희(경기도박물관)
|
13:30~13:55
|
제5발표,
조선시대 향화 여진인의 활동과 경계인의 삶
|
발표 : 이규철(덕성여대)
토론 : 박정민(전북연구원)
|
13:55~14:20
|
제6발표,
여말선초 高昌 偰氏·西蜀 明氏의 한반도 이주와 후손들의 동향
|
발표 : 안선규(한신대)
토론 : 소순규(한국학중앙연구원)
|
14:20~14:45
|
제7발표,
반일과 친일의 시점에서 본 1930년대 중반 오사카 재일조선인의 일상적 삶
|
발표 : 김인덕(청암대)
토론 : 성주현(숭실대)
|
14:45~15:00
|
휴 식
|
|
15:00~15:25
|
제8발표,
1937년 연해주 한인의 강제이주 결정과 그 진행
|
발표 : 홍웅호(동국대)
토론 : 윤상원(전북대)
|
15:25~15:50
|
제9발표,
해방 후 한국 사회의 화교 차별과 경계인으로서의 화교의 삶
|
발표 : 이상록(국사편찬위원회)
토론 : 백승덕(역사문제연구소)
|
15:50~16:15
|
제10발표,
기지의 확장과 생활의 경계: 냉전기 인천•경기지역 ‘미군기지생활권’의 형성과 의미
|
발표 : 금보운(고려대)
토론 : 김성은(UCLA)
|
16:15~16:30
|
휴 식
|
|
16:30~17:40
|
종합토론
|
사회 : 박종린(한남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