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3일
|
|
주제 : 동유라시아의 물품과 로컬리티
|
|
|
개회식
|
사회: 김병모(동국대학교 HK⁺사업단 총괄센터장)
|
13:30 ~13:40
|
개회사
|
서인범(문화학술원 원장/ HK⁺사업단장)
|
13:40
~13:50
|
축사
|
윤성이(동국대학교 총장)
|
제1부
|
|
사회: 임경준(동국대학교)
|
14:00
~14:40
|
モノから見た東南アジア史 : 東アジアとの関わりを中心として
|
발표: 桃木至朗(大阪大学)
토론: 강희정(서강대학교)
|
14:40~
15:20
|
무역/밀무역으로 보는 근세 한일관계
|
발표: 酒井雅代(名古屋大学)
토론: 허지은(서강대학교)
|
15:20~
15:30
|
휴식
|
|
제2부
|
|
사회: 김성규(동국대학교)
|
15:30
~16:10
|
The Role of Eurasian Culture in Developing Timorese Culture
|
발표: Widya Nayati (Gadjah Mada University)
토론: 송승원(외국어대)
|
16:10
~16:50
|
청대 길림의 재배삼과 자연 환경
|
발표: 김선민(고려대학교)
토론: 한성주(강원대학교)
|
16:50
~17:00
|
휴식
|
|
17:00
~18:00
|
종합 토론
|
좌장 : 김형준(강원대학교)
|
12월 4일
|
제 1부
|
주제 : 방법으로서의 동유라시아
|
사회 : 박연주(동국대학교)
|
13:30
~14:10
|
中央ユーラシアと東部ユーラシア:方法としての地域、舞台としての地域
|
발표: 杉山淸彦(東京大学)
토론: 이선애 (경상대)
|
14:10
~14:50
|
Cross-cultural Mapping in Japan, China and Korea at the time of the European Presence
|
발표: Angelo Cattaneo
토론: 오상학(제주대)
|
14:50
~15:00
|
휴식
|
|
제 2부
|
주제 : 물품과 이동
|
사회 : 최소영(동국대학교)
|
15:00
~15:40
|
北宋大食客商入獻高麗叢考 (북송 대식 상인의 고려에 진헌 고증)
|
발표: 馬建春(暨南大学)
토론: 이강한(한국학중앙연구원)
|
15:40
~16:20
|
몽골 흉노 무덤 출토 외래계 유물의 성격”
|
발표: Gelegdorj Eregzen (Mongolian Academy of Sciences)
토론: 강인욱(경희대학교)
|
16:20
~16:30
|
휴식
|
|
16:30
~17:30
|
종합 토론
|
좌장: 남종국(이화여자대학교)
|
폐회
|
폐회식
|
폐회사 : 노대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