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home 소식 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독립운동가 고 홍재하 선생 차남 장 자크 홍 푸안 씨, 국사편찬위원회 방문
독립운동가 고 홍재하 선생 차남 장 자크 홍 푸안 씨, 국사편찬위원회 방문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8-19
조회
3,646

보도일시 : 2019. 08. 19. / 배포일시 : 2019. 08. 19.
홍보담당 : 편사연구사 이동헌(02-500-8323)
담당과 : 사료조사실 / 담당실장 : 김광재(02-500-8352)
담당자 : 편사연구관 황병주(02-500-8365), 편사연구사 문일웅(02-500-8327)



프랑스에서 전해온 어느 독립운동가 이야기
- 재불 독립운동가 고 홍재하 선생 차남 장 자크 홍 푸안 씨, 국사편찬위원회 방문 -


□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조광)는 재불 독립운동가 고(故) 홍재하 선생 차남 장 자크 홍 푸안 씨를 초청하여 홍재하 선생 관련 워크숍을 개최한다.
   ○ 고 홍재하(洪在廈, 1892-1960) 선생은 사후 60년만에 독립운동의 공적을 인정받아, 이번 광복절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국사편찬위원회는 고 홍재하 선생의 자료를 유족으로부터 기증받아 공개하고, 고 홍재하 선생의 일생과 자료의 의미를 되새기는 워크숍을 개최한다.

□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작년 말 재불 독립운동가 홍재하 선생 자료를 발굴하여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을 통해 공개하였다.
     
※ 홍재하 선생 자료는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http://archive.history.go.kr/)을 통해 목록 및 원문이 제공되고 있다.(사료군 : 재불 독립운동가 홍재하 문서, 사료참조코드 : AFR004)
   ○ 고 홍재하(洪在廈, 1892-1960) 선생은 재불 동포 1세대로서 프랑스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협력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첨부 1】재불 독립운동가 홍재하 선생 약력
   ○ 선생의 자료는 191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프랑스에서 생산된 자료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자료도 다수 발견되어 학계의 관심을 받았다.
      【첨부 2】새롭게 발굴된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대통령 이승만 탄핵 호외(『독립신문』 1925년 3월 25일 호외)
      【첨부 3】대한민국 임시정부 재무총장 이시영 명의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무부 포고 제1호(1923.11.5.)>


□ 고 홍재하 선생에 대한 정보는 지금껏 단편적으로 알려져 왔다. 선생의 삶과 사상, 독립운동 활동에 대해서는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 선생은 1919년 프랑스로 건너가 1차 세계대전 전후복구 노동을 하며 번 돈을 대한민국 임시정부 파리위원부(대표 김규식 선생)에 보탰고, 1920년에는 프랑스에서 3․1운동 기념식을 개최하여 한국민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린 바 있다.
   ○ 아울러 선생은 프랑스 최초 한인 단체인 ‘재법한국민회(在法韓國民會)’ 결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유럽 지역 동포 사회의 단결에 크게 기여하였다.

      【첨부 4】‘재법한국민회’ 설명 자료

□ 이번 워크숍은 고 홍재하 선생, 더 나아가 일제강점기 유럽에 건너간 지사들의 생애사적 정보를 그 후손에게 들음으로서 독립운동사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얻고자 기획되었다.
   ○ 고 홍재하 선생을 비롯한 프랑스 초기 한인 사회의 면모는 아직 밝혀져야 할 부분이 많다. 이번 워크숍은 홍재하 선생의 후손을 통하여 선생의 일대기와 프랑스 한인 사회의 역사를 확인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초청 워크숍
     - 일시 : 2019년 8월 20일(화) 16:00 ~18:00
     - 장소 : 국사편찬위원회 본관 2층 중회의실


【붙임자료 목록】
첨부 1. 재불 독립운동가 홍재하 선생 약력
첨부 2. 새롭게 발굴된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대통령 이승만 탄핵 호외(『독립신문』 1925년 3월 25일 호외)
첨부 3.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무총장 이시영 명의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무부 포고 제1호(1923.11.5.)>
첨부 4. ‘재법한국민회’ 설명자료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사편찬위원회 문일웅 편사연구사(☎ 02-500-8327)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