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home 소식 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국사편찬위원회 고려개경지리정보(GIS) 사이트 개통
국사편찬위원회 고려개경지리정보(GIS) 사이트 개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12-30
조회
3,744

보도일시 : 2019.12.30.(월) 14:00 / 배포일시 : 2019.12.30
담당과 : 연구편찬정보화실 / 담당실장 : 류준범(02-500-8334)
담당자 : 편사연구사 송용덕(02-500-8315)



지도와 사료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개성역사유적지구’를 거닐다
- 국사편찬위원회 고려개경지리정보(GIS) 사이트 개통 -

 

□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조광)는 고려 수도 개경의 역사 지리정보를 종합한 고려개경지리정보 사이트를 12월 30일(월)에 개통하였다.
  ◦ 국사편찬위원회는 개경(開京) 정도(定都) 1,100주년을 맞아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 : Histor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한 고려개경지리정보(http://db.history.go.kr/hgis/kor_g1/main.do)를 구축, 일반에 공개한다.

□ 국사편찬위원회는 역사자료와 지리정보를 결합한 역사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을 중점과제로 설정하고 단계적으로 확충하고 있다.
  ◦ 국편은 삼일운동 100주년을 맞아 올해 2월에 삼일운동 자료와 지리정보와 연계한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samil/)를 공개하여, 학계와 언론의 큰 관심을 받았다. ‘고려개경지리정보’는 국편의 역사정보화 경험과 기술이 집약된 2번째 역사지리정보 성과물로, 고려 개경의 역사와 유적을 지도와 자료로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 고려개경지리정보 사이트에서는 824건에 달하는 개경 관련 지리정보 표제어와 상세정보 자료를 제공한다. 아울러 604건 개경 관련 표제어를 지도에 표시하여, 이용자들이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 고려개경지리정보 사이트는 개성역사유적지구의 다양한 문화유산과 역사 사적을 지도상에 표시하고 연관 사료를 함께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개성의 역사와 유적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하였다.

□ 고려 개경을 둘러싼 성곽과 궁궐은 어떻게 배치되었을까?  태조 왕건이 거란이 선물로 보낸 낙타를 굶겨 죽였다는 만부교는 어디에 있었을까? 아라비아 상인이 출입했던 벽란도의 주변 환경은 어떠했을까?

      【붙임 1】개경 주요 성곽과 궁궐 위치도
      【붙임 2】만부교 위치와 상세정보 설명 화면
      【붙임 3】벽란도의 일제강점기 지형도와 현재 지도 비교 화면

 

  ◦ 고려개경지리정보 사이트에서는 성곽, 만부교, 벽란도와 같은 시설물 정보를 지도에서 검색할 수 있고 관련 사료를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와 연계하여 살펴볼 수 있다.
  ◦ 북한의 국보 문화유산인 만월대(북한 국보 제122호), 성균관(북한 국보 제127호), 첨성대(북한 국보 제131호), 선죽교(북한 국보 제159호), 태조왕건릉(북한 국보 제179호), 공민왕릉(북한 국보 제123호) 등의 위치와 연관 사료도 지도 화면에서 한번에 파악할 수 있다.
  ◦ 824건의 표제어는 궁궐, 관청, 능묘, 다리, 사찰, 성곽 등의 시설물 정보와 고개, 산, 하천 등의 자연 정보로 분류되고 개경 주면의 행정구역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붙임 4】개경 나성 내외에 위치했던 여러 사찰들

□ 개성 시내 지역은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1:10,000 조선지형도가 베이스 맵으로 활용되었고 개성 인근 지역은 1:50,000 조선지형도가 사용되었다. 아울러 국토지리정보원의 현재 지도를 연계하여 북한 개성 지역의 지리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 국사편찬위원회 조광 위원장은 “고려개경지리정보 시스템을 통해 고려 왕조 수도인 개경 지역 연구를 심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라고 밝히면서 “지금은 개성 지역 왕래가 단절되어 있지만 개성의 다양한 문화유산 정보를 지도를 통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만큼 연구자나 국민들의 관심이 고조되기를 바란다”라고 하였다.
  ◦ 국사편찬위원회는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고려개경지리정보’ 등 역사지리정보 구축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근현대지리정보’ 등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을 단계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사편찬위원회 송용덕 편사연구사(☎ 02-500-8315)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개경 주요 성곽과 궁궐 위치도
2. 만부교 위치와 상세정보 설명 화면
3. 벽란도의 일제강점기 지형도와 현재 지도 비교 화면
4. 개경 성곽 내외에 위치했던 여러 사찰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