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home 소식 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국사편찬위원회, 6·25전쟁 학술회의 개최
국사편찬위원회, 6·25전쟁 학술회의 개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7-06
조회
2,309
배포일 - 2020. 7. 6.(월)
담당실 - 기획협력실
담당자 - 실장 김영두(☎02-500-8338), 편사연구관 김득중(☎02-500-8359)


 

 

국사편찬위원회, 6·25전쟁 학술회의 개최

 

전쟁이 끼친 학술계의 변화와 냉전지식 형성에 초점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조광)6·25전쟁 70주년을 맞아, 78()에 제55회 한국사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6·25전쟁을 사건사적으로 접근하는 것에서 벗어나, 6·25전쟁이 학술계와 사상에 끼친 장기적 영향을 분석한다.


역사학을 비롯한 문학, 사회학, 정치학 학계의 연구 변화 추적

이번 학술회의는 총6개의 주제 발표와 토론 그리고 종합토론으로 진행된다.

상세 내용은 첨부 자료 참조

역사학(북한학), 문학, 사회학, 국제정치학 연구에서, 6·25전쟁을 계기로 한국을 비롯한 미국 등 민주주의 세계의 냉전 인식, 방법론, 제도가 어떻게 바뀌었는가를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냉전적 인식이 만들어진 결정적 계기 6·25전쟁

냉전지식체계의 형성이라는 주제는 학계에서 처음으로 다루어지는 주제이다.

6·25전쟁은 냉전이 열전으로 발발한 최초의 전쟁이었으며, 냉전의 사회과학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전쟁이었다.

반세기가 넘는 동안, 6·25전쟁을 계기로 형성된 냉전지식체계는 학문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공산주의 진영을 바라보는 일반인의 인식과 가치관을 규정하였다.

6·25전쟁을 냉전적 인식의 역사적 기원으로 살펴보고, 지식과 사회의 관계를 점검하는 학술회의가 될 것이다.
 

조광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학술회의는 그동안 정치·군사 등에 치중되어왔던 기존 6·25전쟁 연구에서 벗어나, 전쟁이 냉전적 삶과 사고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를 분석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언급하였다.

 

첨부 : 국사편찬위원회 제55회 한국사 학술회의 일정

첨부파일